서브배경이미지

건강강좌

H > 건강정보 > 건강강좌

제목

말 더듬는 아이, 잠시 기다려 주세요

fjrigjwwe9r3edt_lecture:conts
fjrigjwwe9r3edt_lecture:conts
초등학교에 입학하자마자 발표와 토론 등 참여형 수업의 비중이 높아지면서 아이의 말하기 능력에 대한 부모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내 아이가 많은 사람 앞에서 자신감 있게 말하는 모습을 지켜보는 것이 모든 부모의 바람이겠지만, 의외로 학령기 무렵부터 말더듬증 증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이때 어떻게 대처하느냐에 따라 아이의 말하기 능력이 좌우되기 때문에 각별한 관심이 필요하다.

아이와 엄마가 종이컵 전화로 대화하는 모습

작년 한 해 말더듬증으로 진료받은 환자의 70%가량이 학령기

국민건강심사평가원의 보건의료통계 자료에 따르면 2017년 한 해 동안 병원을 찾아 치료받은 말더듬증 환자 총 423명 중, 5세 미만 아동은 153명(36.1%), 5~9세 아동은 138명(32.6%)으로 학령기 전후 아동의 말더듬증 치료가 전체의 68.7%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말더듬이란 머릿속에 있는 내용을 말하고자 할 때 말이 잘 나오지 않는 것을 뜻한다. 말소리 하나, 또는 단음절을 반복하거나 첫소리를 길게 연장하고 말이 막히는 것 등이 말더듬증의 대표적인 증상이다. 일반적으로 말더듬증은 생후 18개월부터 만 12세 무렵까지 나타나는데, 주로 3~5세 사이에 생겼다가 점차 사라지고 60% 이상은 저절로 치유된다.

그러나 이런 증상이 초등학교 입학 후에도 계속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입학이나 새 학기 등 새로운 환경에 맞닥뜨렸을 때 스트레스가 더해지면 말더듬이 심해질 수 있다. 학령기에 말더듬증으로 인한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생기면 타인과의 대화 자체를 회피하는 성향을 보이기도 한다. 이 상태를 방치하면 학습 발달은 물론이고 교우 관계와 같은 사회성 형성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고, 성인 말더듬증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전문의를 찾아 치료받을 것을 추천한다.

특히 말더듬증 뿐만 아니라 이차적인 행동이 나타나면 반드시 바로 병원을 찾아야 한다. 예를 들어 말을 할 때 눈 깜박임, 얼굴 찡그림, 입술 떨림, 발 구름 등의 행동을 보이거나 상대의 시선을 의식하고 시선을 피하지는 않는지 세심하게 살펴야 한다. 아이가 본인의 말더듬증을 자각하고 의식하게 되면 치료가 더 힘들어지므로 되도록 조기에 병원을 찾는 것이 좋다.

다그치는 건 금물! 조기 치료가 효과적

아이의 말더듬증 증상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우선 부모와 가족, 주변 사람들의 역할이 중요하다. 아이가 말더듬증을 의식하고 말하기에 부담을 가질수록 증상이 심해지고 치료가 어려워지므로, 말더듬증 증상을 발견했을 때 바로 지적하고 고쳐주려 하기보다 일단 인내심을 갖고 기다려야 한다.

아이가 적절한 단어를 찾지 못한다면 이를 알려주기보다는 본인이 표현을 찾을 때까지 기다려 주어야 한다. 특히 말 더듬는 아이를 다그치는 행동은 금물. 아이가 심리적으로 동요하고 흥분하는 것 같다면 당황하지 말고 편안한 목소리로 천천히 말하라고 얘기해주는 것도 좋다.

자주 대화를 나누며 아이가 좋아하는 주제로 이야기를 유도하는 것도 말더듬증 증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아이가 말하는 것 자체를 어려워한다면 긴 대답이 필요한 질문보다는 쉽고 간단하게 대답할 수 있는 질문을 하면서 말하는 습관을 들여주는 것도 좋다. 또 편안한 목소리로 천천히 책을 읽는 것도 좋은 방법. 하이닥 이비인후과 상담의사 안철민 원장(프라나 이비인후과)은 “언어는 학습 능력은 물론, 교우 관계 등 사회성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말더듬증 증상을 결코 가볍게 여겨서는 안 된다”고 설명하며 조기 치료에 대한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

3-6개월 이상 치료와 훈련을 하면 많이 개선할 수 있지만, 쉽게 재발할 위험도 높은 아이의 말더듬증. 아이를 사랑하는 만큼 꾸준한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면 충분히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출처: 건강이 궁금할 땐, 하이닥 (www.hidoc.co.kr)